7.26 시황/ 외인,기관이 지켜준 하루


다우 +0.28 나스닥 -0.43% S&P500 +0.13%
전일 미국시장은 3대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으며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막판 하락세를 키웠습니다.
연준 FOMC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의 공포가 뉴욕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런 가운데 미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와 경기침체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내일 새벽부터 시작 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대형 기술기업들이 잇달아 실적 발표를 하면서 투자자들이 방향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네요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0.75%포인트 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2.25%~2.50% 범위가 되며
이는, 연준이 보는 중립금리인 2.5% 수준에 도달하게 되며,
중립금리는 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말합니다.
코스피
· 2,412.96 (+0.39%)
· 개인 -479억, 외국인 +24억, 기관 +464억
코스닥
· 789.93 (+0.03%)
· 개인 +688억, 외국인 -528억, 기관 -102억
오늘 국내장은 코스피는 외인, 기관 수급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장초반 매도세를 보였던 외인과 기관은 장중 매도세 축소, 순매수 전환하며 코스피 견인했습니다.다만 장 막판에 외인 순매수 대폭 반납했네요
국내장 역시 금주 예정된 FOMC, 미국, 한국 GDP, 미국 PCE 물가에 시장에는 경계감 가득한 모습이며
다행스러운 점은 금일 현재까지 외인은 4영업일 연속 매수(전기전자 562억, 운수장비 92억 순매수)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주요 이슈
1) CNBC "한국 성장률 예상 상회..추가 금리인상 전망"
· 2분기 GDP 성장률 전분기 대비 0.7%..예상치(0.4%)↑
· 현재 한국 금리 2.25%로 미국 7월 0.75% 인상 시 역전
· CNBC "한은 추가 금리인상 할 수 있는 실탄 확보"
· "견조한 성장..차기 금통위서 인상 단행해 재역전 예상"
2) 블랙록, 인플레·경기침체 동시해결 불가능
·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 연준 오판이 변동성 확대
· "인플레와 경기 침체 리스크 속 연준 우선순위 정해야"
· 금리인상 효과 명확시 내년 중 금리인하 나설 것 전망
3) 석유제품, 빙과류 상반기 역대 최대 수출 기록
· 정유4사 상반기 수출액 279.5억 달러..전년비 +97%
· 제품 공급 부족한 호주, 필리핀 등에 수출물량 늘려
· 1~6월 빙과류 수출액 5000만 달러..전년비 +14%
· 세계적 폭염, K팝에 이어 한국 먹거리 관심 증가 영향
4) 테슬라 설비투자 1.3조 증액..상하이공장 생산 +30%
· SEC 보고서에 올해 설비투자 60억~80억 달러 예상
· NYT "설비투자액 독일 베를린, 미국 오스틴 공장 투입"
· 상하이 공장 모델Y 일일 생산량 30% 증가한 2000대
· 모델3 생산라인 개조 중..완료시 일일 생산 총 3200대
5) 외국인, 반도체·자동차· 전지 들고 돌아왔다
· 외국인 이달 들어 매수세..지수 떠받치는 모양세
· 돌아온 외국인, 반도체·자동차·2차전지 등 대형주 담아
· 외인 매수주, 반등 탄력·실적 등 긍정적..통신주도 관심
6) 미국 반도체 지원법 투표 이틀 연기
· 중국 견제 위해 반도체 지원법 마련..민주당·공화당 대립
· 이 법안 통과시 인텔, TSMC, 삼성전자 등 큰 수혜 예상
· 단, 법안 의회 통과 확실치 않아..하원 심사도 남아있어
7) 중국, 미국 압박에 물량공세로 전환
· 중국, 미국 압박에 반도체 자립 노선 막혀..전략 수정
· 기술 장벽 낮은 성숙(레거시) 공정으로 눈 돌려
· 코로나19 이후 레거시 품목 오히려 늘어..위협 여부 주목
●내일 주요 일정
· SK하이닉스, LG화학,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전기,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등 실적발표 예정
· 7월 소비자동향조사
· 5월 인구동향
· 정부, 폴란드 현지 방산 수출 MOU 체결 예정
·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방한(~28일
· 미국, 알파벳 A· 마이크로소프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보잉·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 무디스 등 실적발표 예정
· 미국, 주간 원유재고
· 미국, 6월 상품수지
· 미국, 6월 잠정주택판매지수
· 미국,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
· 유로존, 6월 총통화(M3) 공급
· 중국, 6월 공업이익
· 일본, 5월 경기동향지수 수정치
행복한 오후시간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