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증시마감

(8)
8.5 시황/ 미 고용지표 앞두고 견조한 상승 마감(금일 미장은?) 다우(-0.26%) 나스닥(+0.41%) S&P500(-0.08%) 금일 새벽 마감된 뉴욕증시는 7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하루 앞두고 관망세가 확대 되며 혼조세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최근 발표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이어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오늘 7월 고용동향보고서가 발표됩니다. 지난 2일 美 노동부가 공개한 6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를 보면, 6월 채용 공고는 1,069만8,000건으로 전월대비 감소하면서 지난해 9월 이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탄탄했던 노동시장마저 둔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네요. 한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
8.4 시황/ 미장에 이어 상승마감(코스닥에도 돌아온 외인) DOW ▲ 32,812.50 (+1.3%) S&P500 ▲ 4,155.17 (+1.6%) NASDAQ ▲ 12,668.16 (+2.6%) RUSS 2K ▲ 1,908.93 (+1.4%) PHLX 반도체 ▲ 3,053.46 (+2.6%) 금일 새벽 마감된 미국 증시는 발표된 경제지표와 기업들의 실적 호조로 인해 상승 마감했습니다. AMD(AMD/-1.2%)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지난 2분기 순이익을 달성하였지만 연간 가이던스는 월 스트리트의 예상을 하회하여 제시하였고, 모더나(MRNA/+16.0%)와 CVS 헬스(CVS/+6.3%)가 실적 호조를 발표하며 증시의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7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7.3을 기록하며 2년만의 위축세에 접어들었지만, 7월..
8.3 시황/ 외인 5일째 순매수가 이끈 반등 DOW ▼ 32,396.17 (-1.2%) S&P500 ▼ 4,091.19 (-0.7%) NASDAQ ▼ 12,348.76 (-0.2%) RUSS 2K ▼ 1,882.45 (-0.0%) PHLX 반도체 ▼ 2,974.75 (-0.1%) 금일 새벽 마감한 미국 증시는 미/중의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에 의해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의 하원의원 낸시 펠로시가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만 방문을 강행함에 따라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했고 중국은 무력 사용 가능성까지 암시하며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양 국간의 대립에 따라 무역전쟁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축소되었고 글로벌 증시와 공급망 악화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네요. 투자자들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 보이며 금일 뉴욕 증시가 하락 마감. 한편, ..
8.1 시황/ 외인 매수세에 보합 마감 이번 주 한국 증시는 -미국 경기침체 논란 -국내 수출 및 미국 ISM 제조업 PMI 및 고용 등 주요 경제 지표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실적 -OPEC+ 회의에서의 추가 증산 여부 등에 주목을 하면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코스피· 2,452.25 (+0.03%)· 개인 +408억, 외국인 +1,362억, 기관 -1,751억 코스닥· 807.61 (+0.50%)· 개인 -127억, 외국인 +242억, 기관 -107억 ●코멘트: 코스피 외국인 매수세 유입에 강보합 마감 / 개인은 매수세 축소 / 외국인 7월 한달동안 2.3조 코스피 순매수..기관은 1.6조 순매도 / 코스피 F&F 상승에 섬유의복, 포스코케미칼 상승에 비금속광물 업종 강세 /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중 삼성바이오로직스,..
7.28 시황/ 미장 바통 받아 상승마감(ft. FOMC정리) DOW ▲ 32,197.59 (+1.4%) S&P500 ▲ 4,023.61 (+2.6%) NASDAQ ▲ 12,032.42 (+4.1%) RUSS 2K ▲ 1,848.33 (+2.4%) PHLX ▲ 2,911.00 (+4.8%) 전일 미장은 대형 기업들의 실적 호조와 기준금리 인상 발표에 의해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장 초반 마이크로소프트(MSFT/+6.7%)와 알파벳(GOOGL/+7.7%), 스포티파이(SPOT/+12.3%) 등의 기업들이 실적 호조를 발표하며 뉴욕 증시의 상승을 견인했고 미 연준(Fed)의 금리인상 발표 이후 추가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미 연준(Fed)에서 연속적인 자이언트 스텝을 발표하며 기준금리 75bp 인상이 결정함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당국의 결정이 기존 ..
7.27 시황/ 미시장 주목하며 강보합 상승 마감 DOW ▼ 31,761.54 (-0.7%) S&P500 ▼ 3,921.05 (-1.2%) NASDAQ ▼ 11,562.57 (-1.9%) RUSS 2K ▼ 1,805.24 (-0.7%) PHLX 반도체지수 ▼ 2,778.96 (-1.6%) 전일 미국 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주시하며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주요 기업들이 실적을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월마트(WMT/-7.6%)가 분기 및 연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여 제시하였고 쇼피파이(SHOP/-14.0%)는 인원 감축을 발표함에 따라 장 중 큰 폭으로 하락하며 증시의 하락 마감을 주도하였습니다. 또한, 경기 악화를 시사하는 경제지표가 발표되며 증시에 영향주었는데요 전일 발표된 경제지표로는 미국의 7월 소비자신뢰지수가 95.7..
7.26 시황/ 외인,기관이 지켜준 하루 . 다우 +0.28 나스닥 -0.43% S&P500 +0.13% 전일 미국시장은 3대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으며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막판 하락세를 키웠습니다. 연준 FOMC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의 공포가 뉴욕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런 가운데 미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와 경기침체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내일 새벽부터 시작 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대형 기술기업들이 잇달아 실적 발표를 하면서 투자자들이 방향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네요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0.75%포인트 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2.25%~2.50% 범위가 되며 이는, 연준이 보는 중립금리인 2.5% 수준에 도달하게 되며, 중립금리는 경제가..
7.25 시황/ 미장하락에도 불구 외인주도 상승 마감 지난 금요일은 미 3대 지수가 4거래일만에 동반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하지만 주간 기준으로 나스닥 +3.3%, 다우 +2.0%, S&P+2.5% 상승하였으며 빅이벤트가 다수 예정 되어 있는 이번 주를 생각 해보면 일시적인 하락은 건강한 조정으로 보여지네요. 코스피· 2,403.69 (+0.44%) · 개인 -2,827억, 외국인 +922억, 기관 +1,932억 코스닥· 789.69 (-0.01%) · 개인 +723억, 외국인 -684억, 기관 +37억 오늘 국내장은 금요일 미 증시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코스피 중심의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거래소는 외국인의 선물 5천계약 이상 순매수 유입과 기관의 2천억에 가까운 현물 순매수로 다시 2400pt를 회복하며 마감했습니다. 차, 화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