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비트코인 도미넌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인시장은 크게 비트코인/ 알트코인/ 무근본 잡코인
편의 상 이렇게 나눌수 있고 공식적으로는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 금융시장과는 다르게 가상자산 시장은 정률적 지표가 아직 빈약하다 보니
투자자들은 코인시장의 시조 비트코인을 기준으로 한 지표를 만들게 되는데 바로 [비트코인 도미넌스] 입니다.
개인적으로 비유하자면 금융 시장의 '달러인덱스'같은 느낌인데요, 정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코인시장의 전체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
비트코인 도미넌스/BTC Dominance 챠트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실시간 확인 할 수있습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BTC Dominance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왜 중요하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위 챠트는 22.6.11과 22.7.31일 챠트입니다.
40일 만에 전체 코인 시장에서 비트코인 시총이 차지하는 비율이 5% 하락했네요.
참고로 동 기간 비트코인 시세는 약 18% 하락 했습니다.(28,700→23,600/달러)
반면, 활용성이나 확장성에서 이미 비트코인의 그것을 넘어버린 메이저 알트코인 이더리움의 가격은 동 기간 5%상승했네요(1,600→1,690/달러)
코인 시장에서 대표 격인 두 종목 시세만 봐도 최근 상승 장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왜 하락 추세인지 알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산업 초기 당연히 점유율 100% 였던 비트코인이 이후 다양한 코인이 발행되고 생태계가 폭발적으로 확장되면서 점차 점유율이 낮아 졌습니다.

최저점을 찍었을 때는 1차 가상자산 폭등 시기 끝자락이었던 2018.01 37.64%까지 하락했었습니다.
즉, 가상자산 투자 열풍으로 엄청난 유동성이 시장에 유입되었고 수많은 알트코인들 까지 폭등하면서 상대적으로 비트코인 점유율이 낮아졌던 거죠
그 후 거품이 꺼지며 시장이 안정기를 지나 침체기에 접어 들며 다시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70%까지 올라 갔으며 현재는 50% 하단에 위치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과 시장연관성 때문에 여러 시장참여자들은 비트코인 도미넌스를 통해 코인시장의 거시적 방향 및 가격을 전망하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도미넌스를 가지고 개별코인의 가격전망을 하는 것은 큰 의미는 없을 것 같고, 시장 전체의 흐름이나 현재 상황, 여타 기본적 분석을 통한 약간의 방향성 정도는 체크 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비트코인 도미넌스와 알트코인 가격의 연관성을 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비교표 관련 몇가지 설명을 드리면
비트코인가격상승→도미상승→알트가격하락
라고 첫번째 칸에 해석 되었는데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얘기입니다.
특정 코인이 상승하는 조건과 이유는 많은 경우의 수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면서 도미넌스가 높아졌으니 알트코인은 하락 한다는 접근은 위험합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대장주'라는 인식 때문에 비트코인 상승 시 알트코인 가격이 동반 상승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죠
비트코인가격하락→도미상승→알트가격대폭락
위 내용은 맞는 얘기죠
2018년도 시장 침체기를 보면
비트코인이 하락하면서 상대적으로 시장의 신뢰가 덜한 알트코인이 비트코인 대비 폭락 했고 결과적으로 비트코인 도미넌스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거시적 측면에서 시장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신뢰할 만한 도구이며 트레이딩에 도움이 되는 지표라고 할 수있습니다.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플 강세/약세 (0) | 2022.08.03 |
---|---|
이동평균선[MA/Moving Average] 2 (0) | 2022.07.28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알아 보기 (0) | 2022.07.27 |
이동평균선[MA/Moving Average] (0) | 2022.07.26 |
모두가 금리 인상에 주목 할 때 나온 금리 인하 리포트 (0) | 2022.07.25 |